이동평균선 (2) - 전해내려오는 믿음과 통계적 진실
- 기술적분석
- 2020. 3. 21.
이동평균선에는 여러가지 근거없는 믿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20일 이평선 상향 돌파', '이평선은 추세를 의미한다.', '골든크로스는 매수신호', '데드크로스는 매도신호' 등이 있다. 근거가 없다고 해서 믿을 만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일방적인 믿음이라 지적하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실제로 이러한 지표들이 의미가 있는 것인가를 통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의미가 있다면 어떤 부분에 의미가 있는지도 알고자 한다. 만약 이동평균선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이라면 이동평균선은 무엇인가? 글을 먼저 보고 오길 바란다.
(이 글의 내용은 크게 서울대 '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 책에 적힌 통계적 결과를 인용하였다. 필자가 직접 조사한 것이 아니라 서울대 문병로 교수님 연구실에서 조사한 결과인 만큼 그림이나 시각적인 자료로 보여주지 못하는 점 이해해주길 바란다. 하지만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은 시각적인 자료도 좋지만 결론에 더 관심일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20일 이평선 상향돌파>
일반적으로 가격의 차트가 20일 이평선을 상향돌파하면 상승신호라고 믿는다. 그렇다면 실제로도 그럴까? 2000년부터 12년간 480만여 우리나라 주가 중에 20일 이평선을 아래에서 위로 상향 돌파한 건은 13만 6000여 회라고 한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20일 이평선 상향 돌파는 상승신호가 아니다. 통계적으로 20일 이평선이 상향 돌파한 후의 상승률을 일반적인 시장평균의 상승과 비슷한 정도 수준이었다. 아니, 약간 이하였다. 일반적인 믿음을 곧이곧대로 투자에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걸 보여준다. 하지만 그렇다고 20일 이평선 상향 돌파가 항상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나 의미있는 부분이 있다. 20일 이평선이 상향일 때 상향 돌파가 일어난 경우에 대해서는 시장평균보다 의미있는 상승을 하였다고 한다. 상승신호라 여길만 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약 3개월동안 그 상승율이 시장평균보다 높았다. 결국 우리가 20일 이평선의 상향, 하향 돌파에서 취해야할 것은 상향 일때 상향 돌파는 매수신호, 하향일떄 하향 돌파는 매도신호이 두가지이다.
<지수 이평선>
많은 사람들이 지수이평선이 단순이평선보다 신뢰성이 있다고 믿는다. 하지만 그 근거는 단순 경험에 의한 것이지 아무도 그럴듯한 주장을 하지는 못한다. 통계적으로 전체 주가에 대해 단순이평선과 지수이평선을 각각 참고하여 상향 돌파 시 가격상승률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두 이평선의 차이가 경미하게 하다고 한다. 즉, 통계적으로 무엇을 사용하냐는 큰 의미가 없다. 실제로 경미하지만 오히려 지수이평선이 못한 결과를 보일 때가 많다고 한다.
<이평선은 추세를 만드는가?>
흔히들 20일 이평선 혹은 60일 이평선이 상향하면 현재 추세가 상승이라고 믿고 하향이면 현재 추세가 하락이라고 믿는다. 실제로 그럴까? 동일하게 우리나라 대부분의 개별 주가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개별 주가에서 20일 이평선의 상향세는 상승 추세가 아니다. 오히려 시장평균보다 못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60일 이평선은 어떠할까? 마찬가지이다. 20일 이평선보다 더 못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개별 주가에서 60일 이평선의 상향세는 추세가 아니다. 그렇다면 이평선은 추세가 아닌가? 이평선을 추세라 믿는 투자자들은 엄청 실망했을 것이다. 하하. 하지만 여기도 또 재미있는 결과가 있다. 통계적으로 종합지수만을 조사해본 결과, 종합지수 이평선의 상향 전환은 상승 추세를 만든다. 여기서 종합지수란 KOSPI, KOSDAQ를 말한다. 종합지수는 전체적인 시장분위기를 의미하고 이평선의 상향세, 하향세를 통해서 전체적인 시장의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굉장히 의미있는 결과이다. 비트코인 투자자로써도 의미가 있다. 비트코인 시장에서 종합지수란 무엇이겠는가? 비트코인이다. 결국 비트코인의 20일 이평선과 60일 이평선은 전체 시장의 추세라 여기만하다고 생각한다. 믿고 말고는 자유이다.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
이평선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골든 크로스는 매수신호, 데드 크로스는 매도신호라는 맹목적인 믿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20일 이평선과 60일 이평선의 골든 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조사하였다고 한다. 위와 동일하게 우리나라 대부분의 개별 주가에 대한 조사를 보면 이는 매우 경미하다. 결국 믿고 사용할 만한 것이 못된다는 결론이다. 또 하나의 조사로 60일 이평선이 상향일때 골든 크로스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도 있다. 60일 이평선이 상향일때 골든크로스는 일반적인 골든 크로스와 시장평균 보다는 약 1개월간 상승률이 약간 좋다.
마지막으로 종합지수에 대한 결과는 매우 유의미하다. 확실히 종합지수에서의 20일 60일 이평선의 골든 크로스는 시장평균보다 크게 우위에 있었고 이는 상승의 신호라 여길만하다. 60일 이평선이 상향일때의 골든 크로스는 이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참 재미있다.
<정배열>
여기까지 읽은 사람이라면 나와 같이 약간 실망을 하였을 것이다. 우리가 상승의 신호라고 믿는 대부분의 신호들이 개별주가에는 큰 의미를 가지지 않고 종합지수에만 유의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배열은 그렇지 않다. 정배열이란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이평선이 상향일때는 위에서부터 이평선의 주기가 오름차순으로 아래까지 위치하는 것이고, 반대로 하향일때는 역배열이라 불리는데 위에서부터 이평선의 주기가 내림차순으로 아래까지 위치하는 것이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자.
위와 같이 동일하게 개별 주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배열은 개별주가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정배열은 통계적으로 상승신호이다. 종합지수에서의 정배열을 오히려 더 상승신호이다. 많은 신호들이 종합지수에 대해서만 유의미하여 그렇다면 뭘보고 투자해야할까 충격이었지만 정배열은 배신하지 않았다. 정배열을 믿고 투자하면 최소 높은 확률로 잃지 않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굳게 믿고 있는 이평선이 통계적으로 실제 그런가?를 알아 보았다. 실제 사실인 것도 있었고 대부분은 부분적으로 사실이었다. 이는 투자를 할때 참고하면 굉장히 유용한 정보라고 의심치 않는다. 이 글의 통계적 결론은 읽은 책에서 인용한 것이다. 필요한 내용과 결론만 추려서 작성했기 때문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혹시 관심이 있다면 직접 읽어보길 추천한다.
※ 본 글은 필자가 공부를 하며 얻은 이해를 바탕으로 적은 글이므로 다소 해석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하트 클릭 부탁드립니다 :) (비로그인으로도 가능합니다.)
'기술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자동매매 전략 공개(5년간 기본 수익률 3400%) (6) | 2022.02.06 |
---|---|
시스템 트레이딩이란? (feat. 비트코인) (3) | 2022.01.31 |
볼린저 밴드 (1) - 기본개념 및 적용방법 (0) | 2020.03.21 |
이동평균선 (1) - 기본개념 및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 2020.03.21 |
기술적 분석이란 무엇인가? (0) | 2020.03.21 |